.
블로그 로고

한성안교수의 경제학광장

"냉철한 머리"와 "따뜻한 마음"의 경제학.
블로그"한성안교수의 경제학광장"에 대한 검색결과1654건
  • [비공개] 검새, 이쯤이면 막 가자는 건가?

    나는 앞서 조국에 대해 여러 번 비판적인 글을 쓴 바 있다. 곧, ‘법치주의가 능사가 아니다. 조국은 도덕적 감성을 갖출 필요가 있다.’ 하지만 도덕적 감성은 별 게 아니다. ‘합법적 제도’아래서 기득권자들 사이에 공유되는 또 하나의 제도, 곧 ‘사회적 자본’을 거부하는 것이었다.혹자는 입시에 유리한 그런 제도적 조건을 활용하지 안할 사람이 있겠느냐고 반문하며, 성인군자나 예수 뽑는 청문회냐고 조롱한다. 하지만 이들의 반문과 조롱은 사회적 자본을 공유하고 있는 그들만의 리그가 있다는 사실을 처음 목격한 대다수 비루한 자들의 박탈감을 너무 가볍게 처리한다.나아가 조국에게 요구되는 도덕은 성인군자들에게나 요구.......
    한성안교수의 경제학광장|2019-09-06 03:40 pm|추천

    추천

  • [비공개] 특이한 일본민족

    [엠빅X로드맨] 엑스레이 한 번에 100만 번 찍을 수 있는 방사는 핫플 알려드림 출처 : 네이버TV http://naver.me/FMh6VQKi나는 주류경제학인 신고전주의경제학자나 비주류경제학 중 하나인 마르크스경제학자들과 다르게 민족을 '실재하는 집단'이라고 본다. 베네딕트 앤더슨이 주장한 것처럼 단지 '상상의 공동체'가 아니라는 말이다. 오랜 세월 형성되어 동일한 문화를 공유하게 된 인간들의 사회조직 중 하나다. 민족은 실재하는 '문화적 공동체'다.때문에 대다수 인간은 "민족적"일 수밖에 없다. 그리고 이런 문화적 토대 위에서 국가가 형성된다. 그 때문에 근대국가는 국민(민족)국가(nation s.......
    한성안교수의 경제학광장|2019-09-02 08:22 am|추천

    추천

  • [비공개] 반일종족주의, 어떻게 볼 것인가?

    마트 장보러 가는 날을 제외하면 대중교통만 이용한 지도 5년이 훌쩍 넘은 것 같다. 자동차 보험료도 엄청 싸고, 운전피로도와 위험이 없어져 좋다. 지하철을 타면 눈을 감고 생각할 수 있고 민중들의 삶의 현장을 들여 볼 수도 있다. 버스를 탈 땐 차창바깥을 마음 편하게 볼 수 있다. 시내버스를 타도 시내에 구경할 게 많다. 옛날처럼 엄청 바쁘게 사는 것도 아니라 택시를 안 타는 편이다. 대중교통으론 불편하지만 양복을 까리하게 입어야 할 땐 불가피하게 택시를 탄다. 어제도 평소와 달리 좀 차려 입었다.나: MBC로 갑시다.택시기사: 오늘 사모님 노래 부르세요?나: 웬 노래요? 택시기사: 아, 어제 아저씨 한 분이 자기 와이프.......
    한성안교수의 경제학광장|2019-08-29 03:20 pm|추천

    추천

  • [비공개] 한국사회경제학회 학술대회

    조국 후보자 논란에 신경쓰다 하마터면 중요행사를 착각할 뻔했네요.학술대회의 사회를 맡았는데 내일을 모레로 잘못 알고 있다 마눌께서 알려주는 바람에 이제야 알게 되었습니다.제가 자주 깜빡해 망신살이를 하니 자기 일정에 기입해 두더군요.한국사회경제학회에서 몇가지 직책을 맡고 있으니 제가 적극적으로 홍보해야겠죠.제가 무려 (별 하는 일 없이 주디만 살아있는) 교육특별위원장, 기획발전특위위원, 운영위원입니다 ㅎㅎ한국 진보경제학의 산실, 한국사회경제학회를 기억해 주세요.한성안(영산대교수, 경제학)
    한성안교수의 경제학광장|2019-08-26 09:31 am|추천

    추천

  • [비공개] 조국의 성찰

    촛불명예혁명 이후 높은 도덕을 요구하고 공정을 실천하는 시대가 우리 앞에 도래했습니다. 성숙한 민주의식을 가진 국민들에 의해 우리 사회는 곳곳에서 혁명적 변화가 일어나고 있으며, 젊은 시절부터 오래도록 꿈꾸었지만, 어쩌면 이상일지 모른다고 생각했던 민주주의 시대가 현실이 되고 있습니다. 젊은 시절부터 정의와 인권에 대한 이상을 간직하며 학문 및 사회활동을 펼쳐 왔고, 민정수석으로서는 권력기관 개혁에 전념했습니다. 그러나 지금은 제 인생을 통째로 반성하며 준엄하게 되돌아보아야하는 상황이 되.......
    한성안교수의 경제학광장|2019-08-25 12:42 pm|추천

    추천

  • [비공개] 조국을 믿어 봐?

    조국을 옹호하고자 하는 논리와 체험수기들이 점입가경이다. 입시전문가의 실제경험, 교육감의 논문평가, 친구의 소개서, 동료교수의 관계분석! 이자들이 숫제 "한국적 정의론"를 창안해 도덕책을 새로 쓸 심산인 것 같다.이런 말 하기 뭐하지만 쓰레기장이다. 적폐청산은커녕 적폐를 하나 더 추가할 조짐이다.아전인수, 견강부회, 천박함.저런 자들의 논리에 놀아나는 우리는 도대체 누군가? 깨어 있는 시민? 집구석에서 잠 자는 게 오히려 사회진보에 도움이 된다.좋아요 누른 분들 반성하시오! ㅎㅎ조잡한 논리로 '조국구하기' 도덕책 써, 웃음거리로 되기보다 조국처럼 성찰하고 용서를 구하는 게 낫다. 이런 조.......
    한성안교수의 경제학광장|2019-08-24 11:46 am|추천

    추천

  • [비공개] 조국의 법치주의

    인간은 개체로 존재할 수 없고 집단으로 존재할 수 있을 뿐이다. 집단으로서의 사회는 어떤 경우에도 ‘제도’를 필요로 한다. 제도는 구성원의 행동을 한편으로 ‘규제’하고 다른 한편으로 ‘촉진’한다. 제도의 역할을 통제(control)의 냄새를 풍기는 규제(regulation)로 국한하면 안 된다. 이런 제도의 성격에 따라 경제활동이 이루어지므로 경제연구에서 제도를 중시하자는 경제학이 ‘제도경제학’이다. 1. 제도로서 도덕제도에는 노동제도, 교육제도, 금융제도, 토지제도, 과학기술제도처럼 ‘경제활동’과 밀접한 관련성을 갖는 제도가 있지만 각종 사회규범처럼 사회의 ‘질서유지’와 관련되는 제도도 있다.사회질서유지를 위한.......
    한성안교수의 경제학광장|2019-08-21 10:49 am|추천

    추천

  • [비공개] 더운데 열불나네

    https://youtu.be/z8szd05TYas이런 자들이 기초단체장들이다.이런 자들을 단체장으로 선택하는 군민들이나 나경원이 같은 자를 국회의원으로 뽑아주는 시민들이나 모두 한심하긴 마찬가지다. 의장이란 자는 뭐하는 작잔고? 이런 당찬 여성 군의원이 있어 그나마 다행이다. 내 타임라인에 우연히 뜬 동영상을 보고 기가 막혀 공유한다. 그리고 이 고립된 촌구석에서 기죽지 않고 싸워나가고 있는 여성의원을 응원해 드리자는 뜻에서도. 기장군은 현재 부산시의 행정구역이지만, 1995년 경남에서 부산시로 편입되었다. 기초단체를 어찌할꼬? 안 그래도 더운데 정말 열불나네요.
    한성안교수의 경제학광장|2019-08-18 01:51 pm|추천

    추천

  • [비공개] '김복동'효과

    이성과 감성! 둘을 두고 철학자들 사이에 질긴 논쟁이 있어왔다는 사실을 잘 안다. 사전을 찾아보면 이성은 체계적으로 사유하는 능력이다. 감성은 자극이나 자극의 변화를 느끼는 성질이라고 정의되어 있다. 이성은 고차원적인 성질로 숭상되고 있지만 감성은 뭔가 모자라는 듯한 저차원적 성질로 폄하되고 있는 것 같다.이런 분위기와 사고방식은 근대사회에 이르러 강화되었다. 이성은 훈련을 통해 고양되어야 하지만 감성은 관리되고 억제되어야 한다. 감정에 휘둘리지 말자! 19세기말에 이르자 경제학은 이성을 선으로 추앙하는 이성숭배주의와 감성을 악으로 규정하는 감성혐오주의에 열광하였다.경제학은 이성에 도달하는 두 가지 방.......
    한성안교수의 경제학광장|2019-08-11 07:40 pm|추천

    추천

  • [비공개] 윤리적 혁신

    욕구와 필요는 생물학적으로 결정되어 있지 않다. 그것들은 끝없이 '진화'한다.생각지도 못했던 욕구들이 새로운 제도적 환경 속에서 창발하며, 상이한 제도적 환경아래서 다양하게 변모한다. 욕구와 욕망, 필요는 '제도적' 조건에 따라 진화한다.제도적 조건은 일반적으로 창조활동에 따라 바뀌고 자본주의 사회에서는 '혁신활동'에 자극받아 변화한다.자본주의경제에서 혁신은 창의적 기업가들이 사회적 지식을 활용해 시도한다. 창조가 과학자와 기술자의 유희라면 혁신은 기업가의 소명이다.기업가는 이런 혁신을 통해 새로운 욕구와 필요를 창조해 낸다. 우리의 욕구는 과학기술자의 창조, 그리고.......
    한성안교수의 경제학광장|2019-08-09 04:29 pm|추천

    추천

이전  76 77 78 79 80 81 82 83 84 ... 166  다음
셀로거는 비즈니스/마케팅 관련 블로그중 대중에게 RSS를 제공하는 블로그의 정보만 수집 및 정리하여 소개하는 비상업적 메타블로그 사이트입니다.
수집된 내용에 대한 모든 블로그의 저작권은 모두 해당 블로거에게 있으며 공개되는 내용에 대해서는 Sellogger의 입장과 무관합니다.
셀로거에서는 원글의 재편집 및 수정을 하지 않으며 원문링크를 제공하여 전문확인을 위해서는 저작권자의 블로그에서만 확인가능합니다.
Copyright (c) Sellogger. All rights reserved. 피드등록/삭제요청 help@sellogg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