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비공개] 반항심과 독립심이 상상력을 키운다
상상력을 발휘하는 데 꼭 필요한 조건 또는 디딤돌이 있다면 그것은 반항심과 독립심이다. 무슨 일이든 관행대로, 시키는 대로 하는 게 아니라 언제든 거꾸로 뒤집어 보고, 반대로 생각해보고, 왜 그래야만 하는지 의문을 가져보는 것, 이것이 바로 상상력의 출발점이다. - 금난새, ‘CEO 금난새’에서 상상력을 발휘하는데 가장 걸림돌이 되는 것은 기존 방식대로, 규칙대로, 매뉴얼대로 하는 것입니다. 창의력을 가지라고 하면서 관리하고 통제하는 것은 이치에 맞지 않습니다. 풀어주고, 맘껏 뛰어놀 수 있도록, 기존 권위에 도전할 수 있도록 허용해야 상상력의 나래를 펼 수 있습니다. 행복한 경영이야기에서 인용하였습니다. 행복하세요추천 -
[비공개] 낙관성이 부와 건강을 결정한다
하버드 법대 1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30년 동안 사회적 성공, 부의 축적, 육체적 건강을 좌우하는 변수를 찾아보았다. 부모의 부, 백인, 공부 잘하기, 뛰어난 두뇌 등은 별 상관이 없었다. 유일하게 관련이 있었던 변인은 낙관성이었다. 세상을 얼마나 낙관적으로 보는가가 그 사람의 성공을 결정했다.- 채정호 교수, ‘옵티미스트’에서 사람은 하루에 오만가지 생각을 합니다. 낙관, 도전, 호기심, 배려와 같은 긍정적 감정이 차지하는 비중이 커짐에 따라 사회적 성공, 부의 축적, 건강, 인간관계 등도 점차적으로 개선됩니다. 생각이 나의 미래를 결정합니다. 행복한 경영이야기에서 인용하였습니다. 행복하세요추천 -
[비공개] 낙관성이 부와 건강을 결정한다
하버드 법대 1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30년 동안 사회적 성공, 부의 축적, 육체적 건강을 좌우하는 변수를 찾아보았다. 부모의 부, 백인, 공부 잘하기, 뛰어난 두뇌 등은 별 상관이 없었다. 유일하게 관련이 있었던 변인은 낙관성이었다. 세상을 얼마나 낙관적으로 보는가가 그 사람의 성공을 결정했다.- 채정호 교수, ‘옵티미스트’에서 사람은 하루에 오만가지 생각을 합니다. 낙관, 도전, 호기심, 배려와 같은 긍정적 감정이 차지하는 비중이 커짐에 따라 사회적 성공, 부의 축적, 건강, 인간관계 등도 점차적으로 개선됩니다. 생각이 나의 미래를 결정합니다. 행복한 경영이야기에서 인용하였습니다. 행복하세요추천 -
[비공개] 바보 같아야 자신의 한계를 깰 수 있다
안타깝게도 실제로 도전하지 않으면 자신조차 자신의 잠재력을 알지 못한 채 지나가게 된다. 나는 경험으로 사람이 때로는 바보 같아야 자신의 한계를 깰 수 있다는 것을 몸소 깨달았다. 내 체력은 혹은 능력은 이 정도라고 한정 짓는다면 잠재력은 거기서 끝나고 만다.- 자이언트 회장 킹 리우, ‘자전거 타는 CEO’에서 자신이 가진 무한 잠재력을 인식하지 못하고 살아가기 쉽습니다. 일단 질러 보면 자신도 놀랄만한 잠재력이 있음을 발견할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해보지 않고는 당신이 무엇을 해낼 수 있는지 알 수가 없습니다.' (프랭클린 아담) 행복한 경영이야기에서 인용하였습니다. 행복하세요추천 -
[비공개] 바보 같아야 자신의 한계를 깰 수 있다
안타깝게도 실제로 도전하지 않으면 자신조차 자신의 잠재력을 알지 못한 채 지나가게 된다. 나는 경험으로 사람이 때로는 바보 같아야 자신의 한계를 깰 수 있다는 것을 몸소 깨달았다. 내 체력은 혹은 능력은 이 정도라고 한정 짓는다면 잠재력은 거기서 끝나고 만다.- 자이언트 회장 킹 리우, ‘자전거 타는 CEO’에서 자신이 가진 무한 잠재력을 인식하지 못하고 살아가기 쉽습니다. 일단 질러 보면 자신도 놀랄만한 잠재력이 있음을 발견할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해보지 않고는 당신이 무엇을 해낼 수 있는지 알 수가 없습니다.' (프랭클린 아담) 행복한 경영이야기에서 인용하였습니다. 행복하세요추천 -
[비공개] 스트레스가 해롭다는 믿음이 건강을 해친다
스트레스가 건강에 해롭다고 믿는 이들이 그렇지 않은 사람들보다 사망률이 43% 증가했다. 더 중요한 것은 극심한 스트레스를 경험한 사람 가운데 스트레스가 건강에 해롭지 않다고 생각한 사람은 스트레스를 받지 않은 사람처럼 사망 위험률이 낮았다. 즉 스트레스 그 자체보다 스트레스가 해롭다는 믿음이 건강에 나쁜 영향을 미친다.- 켈리 맥고니걸 미국 심리학자 켈리 맥고니걸이 8년간의 실험에서 밝혀낸 사실입니다. 스트레스가 만병을 불러온다는 부정적인 생각은 어서 빨리 스트레스에서 벗어나야겠다는 강박을 불러오고, 결국 몸 여기저기에 이상신호를 가져오게 됩니다. 스트레스에 대한 부정적 생각을 바꾸는 것만으로도 많은 효과를.......추천 -
[비공개] 스트레스가 해롭다는 믿음이 건강을 해친다
스트레스가 건강에 해롭다고 믿는 이들이 그렇지 않은 사람들보다 사망률이 43% 증가했다. 더 중요한 것은 극심한 스트레스를 경험한 사람 가운데 스트레스가 건강에 해롭지 않다고 생각한 사람은 스트레스를 받지 않은 사람처럼 사망 위험률이 낮았다. 즉 스트레스 그 자체보다 스트레스가 해롭다는 믿음이 건강에 나쁜 영향을 미친다.- 켈리 맥고니걸 미국 심리학자 켈리 맥고니걸이 8년간의 실험에서 밝혀낸 사실입니다. 스트레스가 만병을 불러온다는 부정적인 생각은 어서 빨리 스트레스에서 벗어나야겠다는 강박을 불러오고, 결국 몸 여기저기에 이상신호를 가져오게 됩니다. 스트레스에 대한 부정적 생각을 바꾸는 것만으로도 많은 효과를.......추천 -
[비공개] 지금 이 순간에 몰입하는 능력이 위대한 선수를 만든다
대다수 스포츠 심리학자들이 말하듯 진정 위대한 선수와 그저 괜찮은 선수를 가르는 기준은 신체적, 기술적 능력이 아닌 정신력이다. 방금 전 벌어진 일을 잊고 앞으로 일어날 일도 생각하지 않고 지금 이 순간에 일어나는 일에만 몰입하는 능력이 바로 그것이다. 지금 이 순간에 몰입하는 능력이 위대한 선수를 만든다.- 라즈 라후나탄, ‘왜 똑똑한 사람들은 행복하지 않을까?’에서 지나간 과거에 대한 후회와 회한, 오지 않은 미래에 대한 두려움과 불안에 끌려 다니면 아무 것도 해낼 수 없습니다. 과거와 미래는 일단 제쳐 놓고 현재의 중요한 일에 집중할 수 있을 때 위대함을 일궈 낼 수 있습니다. 행복한 경영이야기에서 인용하였습니다.......추천 -
[비공개] 지적은 사랑에서 나온다. 지적은 이타적인 행위다
지적이란 이타적인 행위이다. 누군가의 책임을 지적하는 것은 그 지적에 대해 비난과 원망을 들을 위험을 감수할 만큼 누군가를 진정으로 위하는 행동이다. 지적은 사랑의 기초가 된다. - 패트릭 렌치오니, ‘무엇이 조직을 움직이는가’에서 많은 리더들은 책임을 지적하는 것을 어려워합니다. 임원들에게 책임을 묻는 것을 편하게 생각하는 CEO일수록 책임을 물어야 하는 상황이 오히려 더 적다고 합니다. 잘못에 대한 지적은 조직뿐만 아니라 그 구성원을 위해서도 절대 필요합니다. 잘못에 대한 지적을 회피하면 무능한 리더로 전락하게 됩니다. 행복한 경영이야기에서 인용하였습니다. 행복하세요추천 -
[비공개] 스스로를 바라보는 시각으로 인생은 흘러간다
당신이 스스로를 바라보는 시각으로 인생은 흘러가게 되어있어요. 당신이 스스로를 긍정적으로 보면 인생도 그렇게 흘러가고, 당신이 스스로를 실패자로 보면 인생도 그렇게 흘러가는 것이지요. 그러니깐 다른 사람들이 당신을 바라보는 시각 말고 당신이 자신을 어떻게 바라볼지 그것부터 결정하세요.- 김혜남, ‘오늘 내가 사는 게 재미있는 이유’에서 스스로를 한심하고 모자라고 허둥대는 결점 투성이로 바라보면 인생도 그렇게 흘러갈 것입니다. 하지만 스스로를 착하고 남을 배려하고 뭐든 열심히 하는 사람이라고 바라보면 인생 역시 그렇게 흘러갑니다. 미래는 내가 결심하고, 선택하는 대로 만들어집니다. 행복한 경영이야기에서 인용.......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