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블로그"Arcturus"에 대한 검색결과1845건
  • 미리보기 이미지

    [비공개] 해외에너지정책동향 2010 (Issue 43)

    이미지를 클릭하면 해당 파일로 이동합니다. 단, PDF 파일을 볼 수 있는 Viewer 가 설치되어 있어야 합니다. 프로그램이 설치되어 있지 않다면 본 블로그 사이드바의 문서뷰어 아이콘 모음을 클릭하면 프로그램을 다운로드 받을 수 있는 링크로 이동합니다. □ NEWS 카타르, 아시아 LNG시장에 집중 일본-베트남, 희토류 공동개발 및 원전건설 협력 중국, 내년에도 희토류 광물자원 수출 감소 브라질, 최대 심해유전 발견 에콰도르-한국, 전력 프로젝트 개발을 위한 협정 체결 EU, 교토 의정서 연장에 조건부 지지 영국, 수력발전 적극 추진 독일, 휘발유의 바이오에탄올 혼합비율 10%로 확대 □ ANALYSIS 중국, 제 11차 5개년 계획의 에너지절약 목표 달성 전망 □ REPORT CCS 시연 프로젝트 가속화 필요 자료 : 에너지경제연구원
    Arcturus|2010-11-06 07:00 am|추천

    추천

  • 미리보기 이미지

    [비공개] 환율전쟁에 대한 중국의 시각 外 : 瞭望中國 (China Insigh..

    ▶ 이번 31호에서는 최근 뜨거운 논쟁을 불러일으킨 환율전쟁에 대한 중국 전문가들의 다양한 시각을 소개합니다. 환율전쟁의 책임은 중국이 아닌 미국이 져야 한다는 입장과 이를 뒷받침한 이유를 정리하는 글을 비롯하여 환율전쟁을 위안화 도약의 기회로 활용해야 한다는 주장과 위안화 국제화 등 다양한 내용을 담은 글을 통해 중국의 복합적인 시각을 집중 조명했습니다. ‘Special Issue’로는 중국공산당 17기 5중 전회 개막 직전에 통과된 중국판(版) 차세대 성장동력산업 청사진인 ‘전략적 신흥산업 육성방안’의 배경과 구체적인 내용을 정리해 보았습니다. - 現場專家 1 : 환율전쟁에 대한 중국의 시각 - Special Issue: ‘전략성 신흥산업’ 육성 방안 - 中國經濟 關注數字 - Graphic 中國經濟 : 1급 도시 대기업 부장·과장급 연봉 수준外 * 자..
    Arcturus|2010-11-05 07:00 pm|추천

    추천

  • 미리보기 이미지

    [비공개] G20, 환율갈등 둘러싼 각국 입장과 의장국의 역할

    G20 정상회의, 환율갈등 둘러싼 각국 입장과 의장국의 역할 ◈ 요 약 향후 환율문제의 전개방향을 결정하는 주된 관건은 미국 경기이다. 양적 완화에도 불구하고 미국의 경기회복이 기대만큼 빠르지 않을 가능성이 커 환율을 둘러싼 국가간 갈등이 쉽게 사라지지 않을 전망이다. 선진국의 양적 완화기조 확산, 개도국의 시장개입 및 자본 통제 등이 무역전쟁으로 이어질 경우 세계교역의 위축으로 대외의존도가 높은 우리나라 등 개도국의 타격이 클 것이다. 환율갈등의 확산을 막기 위해서는 G20 정상회의를 통해 글로벌 차원에서의 의미있는 합의를 이끌어 내는 것이 중요하다. 단기적으로 미국과 중국의 양보와 타협을 유도하고 글로벌 불균형 해소를 위해 현재 논의되고 있는 경상수지 목표제 논의를 더 진전시킬 필요가 있다. 의장국으로서 가..
    Arcturus|2010-11-05 06:00 pm|추천

    추천

  • 미리보기 이미지

    [비공개] 미 연준, 추가 경기부양(QE2) 발표에 비판 높아

    美 연준, 추가 경기부양(QE2) 발표에 비판 높아 - 미국 경제의 급격한 회복에 영향 주지 못해 - - 달러 가치 하락으로 인플레 상승해 소비자 고통 받을 것 - - 경제성장 빠른 아시아와 남미국가로 달러 유입돼 환율과 통상전쟁 발생 전망 - 미국 연준의 공개시장위원회가 오늘(11.3) 지난 2일간의 정례회의를 마치면서 “추가 양적 완화”를 발표했음. 금융계는 추가 양적 완화가 문제를 유발할 것이라고 우려하는 목소리를 높이고 있음. 한편, 중간선거(11월 2일) 결과, 공화당이 하원을 장악하고 상원에서도 민주당의 독주를 막을 수 있는 위치를 차지하면서 추가부양의 의회 비준은 어렵다는 것이 중론으로 알려져 향후 추가부양 실행이 어떻게 이뤄질 것인지에 대해 관심이 쏠리고 있음. □ 연준의 추가 양적완화(QE2) 발표 내용(11월 3일 오후 2시 15분 발..
    Arcturus|2010-11-05 04:23 pm|추천

    추천

  • 미리보기 이미지

    [비공개] 해외경제 포커스 (제2010-44호)

    Plaza Hotel (New York) ▣ 해외경제 포커스 (제2010-44호/2010. 10. 24 ∼ 2010. 10. 30) ◇ 1985년 플라자 합의의 이행과정과 시사점 ◇ 품목별*소득계층별로 본 미국 개인소비의 부진 ▷ 미국, 3/4분기 GDP성장률 2.0% ▷ 중국, 구매관리자지수 (PMI) 3개월 연속 상승 ▷ 일본은행, GDP성장률 전망치 하향 조정 ▷ 영국, 3/4분기 GDP성장률 예상치 상회 ▷ 금리 ▷ 환율 ▷ 주요국 주가 ▷ 원유 ▷ 비철금속 및 농산물 ▷ 반도체 및 금 ※ 경제지표 발표일정 및 시장 전망치 ※ 주요국의 경제지표 본문(제2010-44호).pdf 통계(제2010-44호).xls
    Arcturus|2010-11-05 09:00 am|추천

    추천

  • 미리보기 이미지

    [비공개] 러시아 비자 애로사항 개선 합의

    러시아 비자관련 애로사항 개선 - 최초 1년 비자 발급 후 비자 연장 시 최장 3년 체류기간 연장 보장, 연간 비자쿼터 폐지 합의 - - 우리 기업활동 환경 급격히 개선될 듯 - □ 문제점 ○ 주러 우리 기업인들은 매년 노동허가 및 비자를 갱신해야 하고, 이 허가를 받는데 최소 수개월이 소요됐음. ○ 연간 총 쿼터 내에서만 노동허가를 신청할 수 있어 노동허가 쿼터가 모두 소진되면 다음 해까지 기다려서 노동허가를 신청해야 함. ※ 2010.7.1 노동허가 관련 법률이 개정돼 연봉 200만 루불(약 6만7000달러) 이상을 받는 자는 최장 3년까지 노동허가를 부여하고 연간 쿼터제한도 받지 않지만, 그 요건이 엄격하고 세금부담(소득액의 13%) 등으로 그 혜택을 받는 우리 재외국민은 매우 적음. ○ 각종 운전면허증, 자동차등록증 등의 유효기간이 비자 기간과 연..
    Arcturus|2010-11-01 06:02 pm|추천

    추천

  • 미리보기 이미지

    [비공개] 실리콘밸리 태양광산업

    중국의 거센 도전에 직면한 실리콘밸리 태양광산업 - 중국기업 파상공세에 실리콘밸리 태양광기업들 오들오들 - □ 도입 ○ 그린에너지 산업에 대한 미 정부의 지원과 솔라패널 기술 혁신을 무기로 지난 수 년간 벤처 캐피털을 바탕으로 설립된 실리콘밸리 지역의 태양광업체들이 이제 양산을 시작하는 단계로 진입 ○ 한층 높은 정부 지원책과 규모의 경제를 바탕으로 중국 업체들이 비약적으로 성장해 저렴한 가격으로 시장을 장악하고 있어 솔라 밸리를 희망했던 실리콘밸리 태양광산업에 거센 도전이 됨. 솔린드라사 사옥 지붕의 솔라패널 자료원 : NY Times □ 실리콘밸리의 태양광 관련 기업들 ○ 실리콘밸리의 대표적 태양광 관련 기업인 솔린드라사는 2005년 설립됨. 2009년에 5억여 달러의 미 에너지부 융자 보증을 받아 자동화 설비를 갖춘 제2..
    Arcturus|2010-11-01 02:28 pm|추천

    추천

  • 미리보기 이미지

    [비공개] 메릴린치 글로벌 리서치 - 2010. 10. 28

    ▶ 이번주는 국제 원자재 가격의 상승, 이머징마켓에 대한리스크 부담 감수, 양적완화에 대한 것이 주요 내용이네요.^^ 자세한 내용은 첨부파일을 참조하세요. 45421_37.pdf 자료 : 메릴린치
    Arcturus|2010-10-31 06:00 pm|추천

    추천

  • 미리보기 이미지

    [비공개] 일본 LED 산업, 종합력만이 살길이다

    일본 LED 산업, 종합력만이 살길이다 - 산화 아연 등 소재개발에서부터 제품화까지 종합력으로 돌파 - LED(발광다이오드) 산업은 얼마되지 않은 성장산업으로 주목을 받고 있음. LED는 최근 들어 조명이나 액정 TV의 백라이트 등에서 사용되며 일반 생활에도 가까운 존재로 다가 오고 있음. LED는 전통적으로 일본산이 강세였으나 최근에는 한국이나 대만 등 해외산이 급격히 일본을 추격 중임. 이에 위기를 느낀 일본은 지금까지의 연구 개발을 소재, 제조기기, 그리고 최종 LED상품까지 연결하는 종합력을 발휘함으로써 높은 경쟁력을 유지하고자 노력함. 일본은 자국만의 특징을 살려 LED 상품을 빌딩·주택 등에 응용하는 작업도 활발히 진행시키며 LED의 활용도를 더욱 다양화시키고 있어 주목받고 있음. □ 산화 아연, 희귀 금속이 필요없는 차세대 재..
    Arcturus|2010-10-30 01:18 pm|추천

    추천

  • 미리보기 이미지

    [비공개] 해외에너지정책동향 2010 (Issue 42)

    이미지를 클릭하면 해당 파일로 이동합니다. 단, PDF 파일을 볼 수 있는 Viewer 가 설치되어 있어야 합니다. 프로그램이 설치되어 있지 않다면 본 블로그 사이드바의 문서뷰어 아이콘 모음을 클릭하면 프로그램을 다운로드 받을 수 있는 링크로 이동합니다. □ NEWS 일본기업, 아시아 온실가스 감축시장 진출 일본 자동차산업, CO₂감축목표 달성 중국, ’10년 브라질에 대한 투자 급증 미국, ’11년 지열산업 성장 전망 베네수엘라, 이란의 가스 프로젝트에 $800백만 투자 아르헨티나, ’11년부터 농축우라늄 생산 러시아, 석유제품 수출세 인상 추진 Gazprom, 불가리아와 가스관 타당성 조사 합의 체코, 배출권에 세금부과 추진□ ANALYSIS 美 캘리포니아 , RPS법 승인 □ REPORT 영국 천연가스 도매시장의 특성 자료 : 에너지경제연구원
    Arcturus|2010-10-30 08:00 am|추천

    추천

이전  125 126 127 128 129 130 131 132 133 ... 185  다음
셀로거는 비즈니스/마케팅 관련 블로그중 대중에게 RSS를 제공하는 블로그의 정보만 수집 및 정리하여 소개하는 비상업적 메타블로그 사이트입니다.
수집된 내용에 대한 모든 블로그의 저작권은 모두 해당 블로거에게 있으며 공개되는 내용에 대해서는 Sellogger의 입장과 무관합니다.
셀로거에서는 원글의 재편집 및 수정을 하지 않으며 원문링크를 제공하여 전문확인을 위해서는 저작권자의 블로그에서만 확인가능합니다.
Copyright (c) Sellogger. All rights reserved. 피드등록/삭제요청 help@sellogg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