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비공개] 메릴린치 글로벌 리서치 Vol.21
Global Research Weekly Overview : 2011. 06. 09 < 목 차 > ▶세계 경제 동향 - 나는 네가 지난 여름에 한 일을 알고있다. ▶미국 경제 동향(1) - 얼마나 낮게, 얼마나 오랫동안? ▶미국 경제 동향(2) - 주택 부문 : 앞이면서 중심 ▶유럽 경제 동향 - 주변부 국가를 위한 비엔나 구상 ▶아시아 경제 동향 - 중국 5월 거시 지표 : 지속되는 역풍 ▶유럽 경제 동향 - 새로운 기로에 선 그리스와 유럽 ※본문 일부 캡쳐. 자세한 내용은 아래 첨부 파일을 참조하세요. 45421_21.pdf 자료 : 메릴린치추천 -
[비공개] 미얀마 경제 현황과 향후 전망
미얀마 경제 현황과 향후 전망 □ 동아시아에서 마지막으로 남은 유망 투자처 미얀마 - 중국, 태국, 베트남 등에서 인건비가 상승하는 가운데 일본 기업은 새로운 저코스트 생산거점 개척이 시급함. 이러한 상황에서 주목을 받는 것이 동아시아에서 유일하게 남은 프런티어인 미얀마임. - 미얀마는 인구 5,900만 명으로 태국에 이어 아세안 지역 내에서 5위의 규모를 가진 큰 국가임. 국제협력은행의 2010년도 해외 직접투자 앙케트 조사에서도 일본 기업의 관심도는 비교적 높음. - 그러나 현 시점에서 미얀마에 진출한 일본 기업은 매우 적음. 미얀마의 군사정권에 의한 민주화 억압에 대한 구미, 일본의 경제 제재가 무역, 투자활동에 장해가 되고 있기 때문임. □ 미얀마 정치 동향 - 미얀마는 26년간의 쇄국과 사회주의를 지속하다가 1988년 시장경..추천 -
[비공개] LA에서 인기 상승 중인 맨발신발
로스앤젤레스에서 인기 얻는 맨발신발 - 트래킹, 달리기 등 마니아층 사이에서 인기 - - ‘맨발달리기’ 개념을 비브람 등 신발회사들이 접목, 구현 - □ 인기 상승 중인 맨발신발 ○ 독특한 모양의 맨발신발, 마니아층 중심으로 이용 확대 - 화창한 날이 많기로 유명한 캘리포니아에서 유행에 앞서 가는 로스앤젤레스 사람들 사이에 독특한 신발을 신고 달리는 사람이 늘어남. - 고릴라 발처럼 보이는 발가락 신발, 현대판 닌자 신발, 하이테크 서핑용 신발과 같은 ‘맨발에 가까운’ 개념의 맨발신발(barefoot shoes)이 인기를 얻음. - 성능 좋은 등산화 고무바닥 생산으로 유명한 이탈리아 신발회사 비브람(Vibram)이 내놓은 발가락 신발은 상당히 괴상한 모양으로, 맨발신발의 1세대 격이라 할 수 있으며 마니아층을 중심으로 애용됨. - 비브람 신발을 판매..추천 -
[비공개] 베트남 투자뉴스 249호
◇ 투자 동향 ○ 외국인 산림 프로젝트 환경부, 농업부의 의견 필요 ○ 락앤락, 역발상으로 베트남 진출 호평 ○ LS엠트론, 베트남 낙후지역에 초등학교 건축 ○ 수출입은행, 베트남 화력발전사업에 PF 6억달러 지원 ○ 아시아나, 부산-베트남 취항 ◇ 주간 경제 뉴스 ○ 신규 제조법인의 수출 가공품 검사 강화 예정 ○ 베트남, 올 상반기 무역적자 75억달러 예상 ○ 베트남, 반중국 시위 허용 ○ 베트남 등 신흥국 “물가”로 몸살 ○ 베트남 "전기값 올려야하는데 물가 때문에“ ◇ 투자법규 동향 ○ 노동법(초안)의 주요 내용 (2) ◇ 입찰정보 ○ Can Tho 폐수시스템 건설 입찰 ◇ 베트남 경제/사회/역사/문화 ○ 중국 군사용 선박 베트남 어선에 위협사격 ◇ 베트남의 신개념 마케팅, 공공장소 LCD TV 모니터 - 하노이 KBC 권경덕 ◇ 베트남,..추천 -
[비공개] 유럽 통행자유화 협정(솅겐 협정) 개정 논의 및 전망
□ 요 약 ▶ 유럽 통행자유화협정(솅겐 협정)은 1985년 룩셈부르크의 솅겐(Schengen) 마을에서 프랑스, 독일, 베네룩스 연합 국가들 간에 맺어진 협정으로, 국경검문소를 철폐하고 통행의 자유를 보장한다는 내용의 합의임. - 회원국이 25개국 (22개 EU 회원국 + 3개 EU 비회원국)으로 확대되면서 '국경 없는 유럽'의 상징이 되었으며, EU의 자유ㆍ안보ㆍ사법 영역(Area of Freedom, Security, and Justice)의 핵심요소로서 EU 차원에서 공동이민정책의 법적 토대를 마련함. ▶ 북아프리카 민주화 시위의 여파로 이주민이 급증하자 이탈리아는 임시거주증을 발급하였고, 이에 대응하여 프랑스가 내부국경 검문 제도를 재도입하면서 솅겐 협정에 대한 지속가능성과 유럽의 이민ㆍ망명 정책 역량, EU의 결속 및 협력 원칙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어 솅겐 협정 개정 논의가 진행..추천 -
[비공개] 세계 에너지시장 인사이트 제11-13호
이미지를 클릭하면 해당 파일로 이동합니다. 단, PDF 파일을 볼 수 있는 Viewer 가 설치되어 있어야 합니다. 본 블로그 사이드바의 문서뷰어 아이콘 모음을 클릭하면 프로그램을 다운로드 받을 수 있는 링크로 이동합니다. □ 현안 분석 중국의 전력난 유가 변동성 완화를 위한 국제적 합의 이행과 전망 □ 주간 포커스 덴마크, 2050년을 향한 녹색에너지 전략 남아공 전력부문의 투자기회와 제약 □ 주요단신 중국, 석탄 12차5개년 계획 발표 제7차 러-중 에너지대화 이라크, Shell에 계약체결 결정 촉구 G8 정상, 원자력 안전규정 강화 촉구 미국 뉴저지州, 배출권 거래제도 탈퇴 자료 : 에너지경제연구원추천 -
[비공개] Green Report 2011 Spring (Vol.11)
▶ 기획특집: 작은 녹색거인 세계로 나가다. 친환경 트렌드를 기회로 활용하여 녹색 강소기업으로 떠오른 기업이 속속 등장하 고 있다. 신재생에너지, 교통, 자원재활용 등 각 분야에서 성공신화를 만들어가고 있는 12개국 14개사의 성공비결을 알아본다. ▶ 신흥국 녹색시장 집중조명 ▶ 정책동향 44/ 인도의 신재생에너지 산업 50/ 인도의 신재생에너지 육성정책 54/ 인도 녹색기업 탐방 58/ 칸쿤회의 이후 EU 기후변화 대책 61/ 일본정부 온난화 대책 일보후퇴 63/ 미국의 기후변화정책 추진 현황 66/ 중국의 기후변화정책 추진 방향 ▶ 녹색 보호주의 ▶ 최신녹색기술 68/ EU의 환경규제 동향 70/ 중국의 환경규제 동향 72/ 건물 에너지 절약 시스템 Heliopan공법 74/ 미국 차량경량화 기술개발 한창 76/ 친환경 유리 벽돌(Eco-glass block) ▶ 녹색시장 이슈 ..추천 -
[비공개] 베트남 투자뉴스 248호
◇ 투자 동향 ○ 외국인 투자기업, 각 분야에서 베트남 회사의 지분인수 ○ 일본-베트남 양국의 협력관계 적극적 ○ 행안부, 베트남에 1억불 전자정부 수출 ○ 호치민시, 외국인직접투자 크게 증가 ○ 베트남에도 한국형 미니클러스터 생겼다 ◇ 주간 경제 뉴스 ○ 공업단지 내 근로자 주택 건설 소득세 우대 ○ 베트남 5월 물가상승률 전년동기대비 19.78% ○ HSBC, "베트남 올 인플레 20% 진입 가능성“ ○ 베트남 문화명소로 부상한 한국문화원 ○ 베트남 투자사기 피의자 국내 송환 ◇ 투자법규 동향 ○ 노동법(초안)의 주요 내용 (1) ◇ 입찰정보 ○ Quang Ninh성 생활용수 급수시스템 건설 입찰 ◇ 베트남 경제/사회/역사/문화 ○ 식품의 안전에 대한 위반 벌금 최고 1억 동 ◇ 베트남의 LED 조명시장 - 하노이 KBC 권경덕 ◇ 베트남 맥주시..추천 -
[비공개] 전기자동차, 주요 소비자층에 어필 못해
미국,전기자동차, 주요 소비자층에 어필 못해 - 소비자 57% 석유값 상승에도 전기자동차 구매의사 없어 - - 지속적인 정부지원 및 시장·소비자인식 변화 전망, 산업 미래 밝아 - □ 잦은 충전 번거로움, 비싼 가격으로 외면받는 전기자동차 ○ USA Today의 보도에 따르면 소비자 1024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전체 응답자의 57%는 지속적인 석유값 상승세에도 불구하고 전기자동차를 구매할 의사가 아직은 없다고 밝힘. - 이 설문조사는 전국 평균 석유가격이 최고 수준인 1갤런당 4달러에 육박하던 지난 5월 중순에 이뤄졌으며 최근 석유값 폭등과 관련해 전기자동차에 대한 언론과 정부, 소비자의 관심이 증폭되는 상황에서 실시됐을 감안했을 때 소비자들의 전기자동차 구매의지는 예상보다 낮은 수준인 것으로 평가됨. ○ 그린제품에 높은 관..추천 -
[비공개] 캐나다, 풍력발전 시장현황 및 전망
캐나다, 풍력발전 시장현황 및 전망 - 2010년 캐나다 풍력발전용량 세계 9위 기록 - □ 캐나다 풍력발전 시장규모 캐나다 풍력발전 총 누적 및 신규 설비용량 현황 (단위 : ㎿) 연도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누적 198 236 322 444 684 1,460 4,846 2,369 3,319 4,009 신규 - 38 86 122 240 776 386 523 950 690 자료원 : 세계풍력협회(Global Wind Energy Council) ○ 캐나다 풍력발전 총 누적 설비용량 - 캐나다 풍력발전 총 누적 설비 용량은 에너지 수요 확대, 정부의 교외 및 산업지역 경제개발 장려, 전력발전 환경적 요인 중요성 확대 등으로 2004~10년 6년 동안 10배가량 확대 - 2010년 기준, 캐나다 풍력 발전 총 누적 설비용량은(Total Wind Power Installed Capacity) 4009㎿로 세계 9위 기록 - 2010년 풍력발전 총 누적 설비용량 기준 캐나다의 세계시장 점..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