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비공개] 방글라데시의 23가지 유망 비즈니스
방글라데시의 23가지 유망 비즈니스 - 현지 전문가가 現 경제·산업여건, 소비 트렌드 등을 반영해 추천 - □ 배경 ○ 방글라데시는 일반적으로 세계 최빈국으로 알려졌으나, 최근 수년간 성장률이 5~6%대를 꾸준히 유지하고 있고, 인구도 1억6000만 명에 달해 잠재력은 있는 나라로 볼 수 있음. ○ 수도 다카와 치타공 등 대도시를 제외하면, 아직 산업기반이나 상업시설이 크게 부족한 실정인데 이는 거꾸로 보면 그만큼 사업기회가 많다는 것을 의미하며, 중장기적 관점에서 시장선점의 기회도 있다는 것을 말함. ○ 참고로 이 정보는 현지의 관련 전문가(Mr. M.J.A. Khan)가 경제지에 기고한 글을 바탕으로 했음을 밝혀 둠. 이 기고문의 배경은 방글라데시 내 취업기회가 부족해 고등교육을 받은 젊은 층의 실업이 사회 불안요인이 될 수 있다는 인식하..추천 -
[비공개] 베트남 투자뉴스 242호
◇ 투자 동향 ○ 베트남 투자기업 해운사의 각종 비용 징수에 이중고 ○ 베트남, 내년 베네수엘라서 원유 생산 ○ Formosa 베트남 제철소, 2014년에 생산 개시 ○ 한세실업, 베트남 신공장 내년 가동 ○ 화우테크놀러지, LED전구 베트남내 합작생산 ◇ 주간 경제 뉴스 ○ 베트남, 무역적자 억제를 위해 자구책 마련 중 ○ 베트남, 여신증가율 20% 미만으로 유지 지시 ○ Trung Nam그룹, 다낭에 대규모 생태도시 건설 ○ 베트남, 금리 추가 인상 전망 ○ 충남외고, 베트남 청소년과 문화교류 ◇ 투자법규 동향 ○ 2011년 베트남 주요 법령 개정 추이 (2) - 투자법, 환경법, 노동법 ◇ 입찰정보 ○ Binh Duong 성, 폐수처리시스템 건설 입찰 ◇ 베트남 경제/사회/역사/문화 ○ 구미의 2010 베트남 인권 보고는 내정 간섭 ◇ 베트남 하노이 엑스포 2011 평가와 시사점 - ..추천 -
[비공개] 베트남 물류 운송 및 통관 절차
베트남 물류 운송 및 통관 절차 - 수입신고時 구비서류는 수입신고서, 수입계약서, 상품송장 (Invoice), 포장명세서 (Packing List), 선하증권 (B/L, AWB) 등 - - 농수산 관련 수입허가는 쇠고기, 생선류는 공상부 사전 수입허가가 필요하며 - □ 베트남 운송 현황 ○기업들의 현지진출, 지역간 연계성, 물류인프라 분포도 등을 고려해 볼 때, 베트남 주요 3대 항만은 북부 (하이퐁항), 중부 (다낭항), 남부 (호치민항) 임 베트남 주요 항만 항만 선석 용도 총면적 생산성 (Box/Crane/Hour) 비고 길이(수심) Da Nang 760m(7m) 다목적 267,456㎡ 10 도로, 철도 내륙수로와 연결 897m (11.5m) 다목적 Hai Phong 342m(7m) 컨테이너 127,300㎡ 12 도로, 철도 내륙수로와 연결 Hochiminh Ben Nghe 88m(9.5m) 컨테이너 322,00㎡ - 도로 열악, 바지선 연결 256m(9.5m) 175m(13m) 288m(13m) Cat La..추천 -
[비공개] 은(silver) 가격 폭등 31년 만에 온스당 40달러 돌파
은(silver) 가격 폭등 31년 만에 온스당 40달러 돌파 - 은 공급이 수요를 따라가지 못해 - - 캐나다, 오스트리아는 은 공급할당제 시행 중 - 연일 고공 행진을 거듭하는 은 값 자료원 : goldprice.org □ 은 가격 2010년 연초 대비 85% 올라 ○ 은 가격이 연일 지칠 줄 모르고 최고가를 경신 중임. 은 시세는 2010년 연초 대비 85%가 상승해 31년만에 최고치를 기록했음에도 계속 올라 올해 4월에는 온스당 40달러를 돌파함. 올 2월 은 가격은 1달 동안에 무려 15%만큼 폭등을 보임. 2010년 3분기까지는 20달러선에 머물렀으나 3분기 후반부터 가파른 상승곡선을 보이는데, 유로화/미 달러화 폭락 및 스위스프랑화 강세와 궤를 같이하며 주목받음. ○ 2010년 은 재고가 전년대비 15% 늘어난 1만922t임에도 은 값의 고공 행진은 멈출 줄 모름. 1980년도 2월의 온스당 38달러를 31년 만인 ..추천 -
[비공개] 백만장자를 만든 대박 아이디어 제품을 아시나요?
백만장자를 만든 대박 아이디어 제품에서 배운다 - 미국에서 성공한 아이디어 제품들 - □ 단순한 저가 아이디어 제품 성공으로 백만장자 탄생 ○ 히트 상품으로 보는 배우는 미국 시장 특징 - 많은 사람이 백만장자가 될 수 있는 아이디어 제품에 많은 관심을 보이고 있고 실제로 저가의 단순한 제품들이 시장에서 폭발적인 판매를 기록한 경우가 많이 있음. - 누구나 다 생각할 수 있는 제품이지만 간단한 아이디어 제품 판매를 통해 백만장자가 되기 위해서는 실제로 이것이 팔릴까 하고 의심하는 것보다 아이디어 제품을 판매에 나서는 사람이 될 수 있다고 전문가들은 조언함. - 미국 시장의 가장 큰 특징은 제품이 복잡한 것을 싫어하고 단순한 제품을 선호하며, 시장이 크기 때문에 저가제품이라고 할지라고 한번 히트하면 높은 판매 수익을 확보..추천 -
[비공개] 세계 에너지시장 인사이트 제11-07호
이미지를 클릭하면 해당 파일로 이동합니다. 단, PDF 파일을 볼 수 있는 Viewer 가 설치되어 있어야 합니다. 본 블로그 사이드바의 문서뷰어 아이콘 모음을 클릭하면 프로그램을 다운로드 받을 수 있는 링크로 이동합니다. □ 현안 분석 2010 LNG 교역실적 및 프로젝트 개발 전망 후쿠시마 원전사고 이후 해외 원자력정책 주요 동향 □ 주간 포커스 독일의 원자력정책의 변화와 단기적 여파 중국석유기업의 중남미 진출 □ 주요단신 중국, 휘발유 및 디젤유 가격인상 러 대통령, 정부 고위관료의 국영기업 CEO 퇴출 지시 이라크 Majnoon 유전개발서비스 계약 EU ETS, 캘리포니아州 탄소시장과 연계 미국 에너지부, 카타르와 청정에너지 개발에 대한 양해각서 체결 자료 : 에너지경제연구원추천 -
[비공개] 아르헨티나, 2011년에도 바이오디젤 최대 수출국 전망
아르헨티나, 2011년에도 바이오디젤 최대 수출국 전망 - 2011년 250만t 생산, 17억~18억 달러 수출 전망 - - 2011년 바이오디젤 생산에 2억 달러 투자예상 - □ 배경 ○ 아르헨티나는 세계 4위 바이오연료 생산국이며 바이오에탄올 개발에 투자 중임. ○ 바이오 연료 주요 원료로 대두가 쓰이며, 아르헨티나는 현재 세계 3위 대두생산국이자 수출국이며, 세계 1위 대두유 수출국임. 2010 주요 국가별 바이오디젤 무역수지 (단위 : 백만ℓ) 자료원 : 투자청(ProsperAr) ○ 바이오연료 산업을 육성하려는 아르헨티나 정부는 최근 에너지 산업부는 경유와 바이오연료 혼합비율 기준을 2010년 1월에 기존의 5%에서 2010년 7월에 7%로 인상하는 법안 통과한 이후 2011년 최소 10%까지 올릴 예정임. - 2015년까지 의무 경유와 바이오연료 혼합 비율이 20%로까지 증가될 계획임. □ ..추천 -
[비공개] 자트로파를 이용한 바이오연료
멕시코 바이오 연료 새 역사의 시작, 자트로파 - 자트로파에서 추출한 연료로 멕시코 항공사 Interjet 시범 운행 – - 2015년까지 바이오 연료 생산 늘려 – □ 멕시코 바이오 연료 현황 ○ 멕시코에서는 지난 1997년부터 바이오 연료에 대한 구체적 프로젝트가 있어야 한다고 논의됐음. 2010년 4/4분기부터는 에탄올을 이용한 바이오 연료를 멕시코 석유공사(Petroleos Mexicanos, PEMEX)를 통해 상업적으로 판매함. 이는 석유공사의 주유소를 통해 휘발유에 에탄올을 첨가해 판매하는 것임. ○ 멕시코가 충분한 바이오 에너지 분야의 강세를 보일 수 있음에도, 정부와 유관기관의 추진의지의 부족으로 바이오 연료 및 바이오 에너지의 상용화가 다른 중남미 국가들보다 뒤처짐. ○ 바이오 에너지 관련 법으로는 지난 2010년 2월 1일 공포된 ‘바이오 에너지 개발 진흥..추천 -
[비공개] 메릴린치 글로벌 리서치 V.14
Global Research Weekly Overview : 2011. 04. 14 < 목 차 > ▶세계 경제 동향 - 미국과 유럽의 탈동조화 ▶미국 경제 동향 - QE2가 종료되면 시장은 폭락할까? ▶아시아 경제 동향 - 3대 중앙은행 정책회의 ▶글로벌 투자전략 - 글로벌 트레이드와 글로벌 자금 동향 ※본문 일부 캡쳐. 자세한 내용은 아래 첨부 파일을 참조하세요. 45421_14.pdf 자료 : 메릴린치추천 -
[비공개] 세계은행, 러시아 경제 분석보고서
세계은행 최근 러시아 경제 분석보고서(요약) I. 주요 내용 ○ 올해 러시아 경제는 내수 증가에 힘입어 4.4% 성장할 것으로 전망됨. ○ 러시아 정부는 인플레이션 억제, 공공지출의 효율성 제고·민간부문의 투자환경 개선에 거시경제정책 포인트를 두어야 함. ○ 국제유가 상승에 따른 세수증가로 내년 선거를 앞두고 공공지출 증대를 할 수 있으나 우랄산 유가의 역사적 평균 가격이 장기적으로 배럴당 60달러이며 국제유가의 사이클은 변동이 크다는 점 등을 염두에 두어, 장기적인 재정의 지속가능성을 고려해 석유 관련 세입을 제외한 재정수지 적자규모를 GDP 대비 4.3% 수준으로 감소하는데 정책 최우선 목표를 두어야 함. II. 상세 내용 1. 최근 러시아 경제동향 □ 경제성장 ○ 2010년 러시아 경제는 주로 재고비축(Inventory restocking)과 수출 증가에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