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블로그 로고

울지않는벌새

울지않는벌새가 되고 싶은 나..
블로그"울지않는벌새"에 대한 검색결과4032건
  • [비공개] 악성 파일로 사용자 몰래 설치되는 "Smart interne..

    .hbad_1 { width: 320px; height: 100px; position:relative; left:50%; margin-left:-160px; } @media(min-width: 500px) { .hbad_1 { width: 468px; height: 60px; margin-left:-234px; } } @media(min-width: 800px) { .hbad_1 { width: 336px; height: 280px; margin-left:-168px; } } (adsbygoogle = window.adsbygoogle || []).push({}); 2016년 3~4월경에 유포된 것으로 추정되는 Internet Explorer 웹 브라우저의 기본 검색 공급자를 가로채기 시도하는 국내에서 제작된 "Smart internet API" 광고 프로그램이 악성 파일을 통해 사용자 몰래 설치된 정황이 확인되어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최초 해당 이슈를 확인하게 된 동기는 Windows 종료 시 "FrmBrowser: SmartTech.exe - 응용 프로그램 오류" 창이 생성된다는 글을 통해 조사를 시작하.. (adsbygoogle = window.adsbygoogle || []).push({});
    울지않는벌새|2016-06-08 09:05 pm|추천

    추천

  • [비공개] 업데이트 : Mozilla Firefox 47.0

    .hbad_1 { width: 320px; height: 100px; position:relative; left:50%; margin-left:-160px; } @media(min-width: 500px) { .hbad_1 { width: 468px; height: 60px; margin-left:-234px; } } @media(min-width: 800px) { .hbad_1 { width: 336px; height: 280px; margin-left:-168px; } } (adsbygoogle = window.adsbygoogle || []).push({}); 모질라(Mozilla) 재단에서 제공하는 오픈 소스 기반 Mozilla Firefox 웹 브라우저가 새로운 기능 추가, 버그(Bug) 수정 및 14건의 보안 취약점 문제를 해결한 Mozilla Firefox 47.0 정식 버전을 업데이트 하였습니다. Support for Google’s Widevine CDM on Windows and Mac OS X so streaming services like Amazon Video can switch fro.. (adsbygoogle = window.adsbygoogle || []).push({});
    울지않는벌새|2016-06-08 11:12 am|추천

    추천

  • [비공개] 뽐뿌 커뮤니티를 통한 CryptXXX 랜섬웨어(.crypz) 유포 소..

    .hbad_1 { width: 320px; height: 100px; position:relative; left:50%; margin-left:-160px; } @media(min-width: 500px) { .hbad_1 { width: 468px; height: 60px; margin-left:-234px; } } @media(min-width: 800px) { .hbad_1 { width: 336px; height: 280px; margin-left:-168px; } } (adsbygoogle = window.adsbygoogle || []).push({}); 하우리(Hauri) 보안 업체에서는 2016년 6월 3일(금) ~ 2016년 6월 7일(화)까지 뽐뿌 커뮤니티 접속하여 특정 광고 배너에 노출될 경우 CryptXXX 랜섬웨어(Ransomware)에 자동 감염되는 보안 사고가 발생하였다고 밝히고 있습니다. [2016년 6월 7일] 랜섬웨어 이슈 관련해 안내드립니다. 실제 뽐뿌 접속자 중 보안 업데이트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은 Adobe Flash Player, Windows, 웹 브.. (adsbygoogle = window.adsbygoogle || []).push({});
    울지않는벌새|2016-06-07 08:12 pm|추천

    추천

  • [비공개] VBS 스크립트 첨부 파일을 통한 Cerber 랜섬웨어 유포 주의 (..

    .hbad_1 { width: 320px; height: 100px; position:relative; left:50%; margin-left:-160px; } @media(min-width: 500px) { .hbad_1 { width: 468px; height: 60px; margin-left:-234px; } } @media(min-width: 800px) { .hbad_1 { width: 336px; height: 280px; margin-left:-168px; } } (adsbygoogle = window.adsbygoogle || []).push({}); 최근 피싱(Phishing) 메일의 93%가 랜섬웨어(Ransomware) 유포에 활용되고 있다는 분석이 공개되면서 실제 2016년 3월경부터 블로그를 통해 공개되는 스팸(Spam) 메일 첨부 파일을 관련된 유포 사례가 랜섬웨어 위주로 작성되고 있습니다. Q1 2016 Sees 93% of Phishing Emails Contain Ransomware (2016.6.4) 이런 와중에 VBS 스크립트 첨부 파일을 통해 Cerber 랜.. (adsbygoogle = window.adsbygoogle || []).push({});
    울지않는벌새|2016-06-06 01:02 pm|추천

    추천

  • [비공개] .crypt 파일 확장명으로 암호화된 CryptXXX 3.x 버전 복..

    .hbad_1 { width: 320px; height: 100px; position:relative; left:50%; margin-left:-160px; } @media(min-width: 500px) { .hbad_1 { width: 468px; height: 60px; margin-left:-234px; } } @media(min-width: 800px) { .hbad_1 { width: 336px; height: 280px; margin-left:-168px; } } (adsbygoogle = window.adsbygoogle || []).push({}); .crypt 파일 확장명으로 파일 암호화를 수행하였던 CryptXXX 랜섬웨어(Ransomware)는 Kaspersky, 안랩(AhnLab) 보안 업체에서 제공하는 복구툴을 이용하여 CryptXXX 1.x / 2.x 버전에 대해서는 어느 정도 복구가 이루어지고 있는 상태입니다. CryptXXX 2.0 랜섬웨어 복호화 도구 업데이트 소식 (2016.5.13) 안랩(AhnLab) CryptXXX 랜섬웨어 복구툴 공개 (2016.5.26) 하지만 201.. (adsbygoogle = window.adsbygoogle || []).push({});
    울지않는벌새|2016-06-04 08:12 pm|추천

    추천

  • [비공개] 읽기 전용(R)으로 변경된 랜섬웨어 암호화 파일 삭제 방법

    .hbad_1 { width: 320px; height: 100px; position:relative; left:50%; margin-left:-160px; } @media(min-width: 500px) { .hbad_1 { width: 468px; height: 60px; margin-left:-234px; } } @media(min-width: 800px) { .hbad_1 { width: 336px; height: 280px; margin-left:-168px; } } (adsbygoogle = window.adsbygoogle || []).push({}); 최근 국내 인터넷 사용자 중에서 보안 패치를 제대로 하지 않은 상태로 웹사이트에 접속하는 과정에서 취약점(Exploit)을 통한 CryptXXX (= UltraCrypter) 랜섬웨어(Ransomware)에 감염되어 문서, 사진, 압축, 음악, 동영상 등의 파일이 .cryp1 파일 확장명으로 암호화되는 피해를 많이 당하고 있습니다. .cryp1 파일 확장명으로 변신한 CryptXXX 랜섬웨어(Ransomware) 주의 (2016.5.27) 그런데 .. (adsbygoogle = window.adsbygoogle || []).push({});
    울지않는벌새|2016-06-03 09:01 pm|추천

    추천

  • [비공개] 스팸(Spam) 메일 발송 기능이 포함된 Shade 랜섬웨어(Rans..

    .hbad_1 { width: 320px; height: 100px; position:relative; left:50%; margin-left:-160px; } @media(min-width: 500px) { .hbad_1 { width: 468px; height: 60px; margin-left:-234px; } } @media(min-width: 800px) { .hbad_1 { width: 336px; height: 280px; margin-left:-168px; } } (adsbygoogle = window.adsbygoogle || []).push({}); 2016년 4월 초에 블로그를 통해 소개한 Shade 랜섬웨어(Ransomware)는 파일 암호화를 통한 금전 요구 이외에 추가적인 악성 프로그램 설치를 통해 다수의 웹사이트 관리자 계정에 접근하는 행위가 있음을 살펴본 적이 있었습니다. 파일 암호화와 추가적인 악성코드를 설치하는 Shade 랜섬웨어 주의 (2016.4.7) 그런데 최근 발견된 Shade 랜섬웨어 변종의 경우에는 파일 암호화 이후 스팸(Spam) 메일 발송 기능이 포함된 악성 프로그램.. (adsbygoogle = window.adsbygoogle || []).push({});
    울지않는벌새|2016-06-02 07:39 pm|추천

    추천

  • [비공개] 업데이트 : Chrome 51.0.2704.79

    .hbad_1 { width: 320px; height: 100px; position:relative; left:50%; margin-left:-160px; } @media(min-width: 500px) { .hbad_1 { width: 468px; height: 60px; margin-left:-234px; } } @media(min-width: 800px) { .hbad_1 { width: 336px; height: 280px; margin-left:-168px; } } (adsbygoogle = window.adsbygoogle || []).push({}); 구글(Google) 업체에서 제공하는 Chrome 웹 브라우저의 새로운 보안 취약점 문제를 해결한 Chrome 51.0.2704.79 버전이 업데이트 되었습니다. 이번 업데이트에서는 High 등급(2건), Medium 등급(5건)을 비롯한 총 15건의 보안 취약점 문제를 해결한 보안 패치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 High 등급 CVE-2016-1696 : Cross-origin bypass in Extension bindings. CVE-2016-.. (adsbygoogle = window.adsbygoogle || []).push({});
    울지않는벌새|2016-06-02 01:36 pm|추천

    추천

  • [비공개] USB 드라이브를 통해 전파되는 zCrypt 랜섬웨어 주의 (2016..

    .hbad_1 { width: 320px; height: 100px; position:relative; left:50%; margin-left:-160px; } @media(min-width: 500px) { .hbad_1 { width: 468px; height: 60px; margin-left:-234px; } } @media(min-width: 800px) { .hbad_1 { width: 336px; height: 280px; margin-left:-168px; } } (adsbygoogle = window.adsbygoogle || []).push({}); 최근 해외에서 발견된 zCrypt 랜섬웨어(Ransomware)는 1차 피해자 뿐 아니라 USB 드라이브를 통해 웜(Worm)처럼 전파하는 기능이 포함되어 있다고 보고되고 있습니다. Link (.lnk) to Ransom (2016.5.26) 최초 감염 방식은 공개되지 않았으며 VirusTotal 기준으로 유추해보면 이메일 첨부 파일 방식이 아닌가 추정됩니다. 생성 파일 .. (adsbygoogle = window.adsbygoogle || []).push({});
    울지않는벌새|2016-06-01 08:07 pm|추천

    추천

  • [비공개] 검색 도우미 : Windows IE Site Manager

    .hbad_1 { width: 320px; height: 100px; position:relative; left:50%; margin-left:-160px; } @media(min-width: 500px) { .hbad_1 { width: 468px; height: 60px; margin-left:-234px; } } @media(min-width: 800px) { .hbad_1 { width: 336px; height: 280px; margin-left:-168px; } } (adsbygoogle = window.adsbygoogle || []).push({}); 인터넷 검색 및 웹사이트 접속 시 다양한 광고창을 생성할 수 있는 국내에서 제작된 "Windows IE Site Manager" 광고 프로그램에 대해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유해 사이트 차단 기능이 포함된 InternetSafeZone 광고 프로그램 (2015.10.22) 해당 광고 프로그램은 유사한 기능을 가진 기존의 InternetSafeZone 광고 프로그램의 변종이므로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배포 방식을 유추해보면 WiseCommerce 디지털.. (adsbygoogle = window.adsbygoogle || []).push({});
    울지않는벌새|2016-05-31 08:46 pm|추천

    추천

이전  55 56 57 58 59 60 61 62 63 ... 404  다음
셀로거는 비즈니스/마케팅 관련 블로그중 대중에게 RSS를 제공하는 블로그의 정보만 수집 및 정리하여 소개하는 비상업적 메타블로그 사이트입니다.
수집된 내용에 대한 모든 블로그의 저작권은 모두 해당 블로거에게 있으며 공개되는 내용에 대해서는 Sellogger의 입장과 무관합니다.
셀로거에서는 원글의 재편집 및 수정을 하지 않으며 원문링크를 제공하여 전문확인을 위해서는 저작권자의 블로그에서만 확인가능합니다.
Copyright (c) Sellogger. All rights reserved. 피드등록/삭제요청 help@sellogger.com